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방송 화법

by 예니(Yeni) 2024. 2. 29.

화법의 개념

의사소통은 중요한 수단이다. 나의 생각과 느낌을 진술할 때, 무엇에 관해서 질문할 때, 혹은 무엇을 요구하거나 지시할 때 흔히 언어를 사용한다. 그것은 언어가 가장 정확하고 빠른 의사소통 수단이기 때문이다.

 

 때로는 눈짓이나 몸짓, 혹은 다른 기호를 쓰는 일도 있지만 그것은 상황이 명료해서 오해될 소지가 없거나, 보내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사이에 묵계가 있거나, 아니면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심리적 사실을 전달하려 할 때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비언어적 수단은 언어보다 복잡하고 모호하며, 소통의 속도도 더디기 때문에 보편적인 의사소통의 수단이라 하기 어려다. 

 

 음성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은 인간의 기본적인 두 가지 활동, 즉 말을 하는 것과 듣는 것에 의해 이뤄진다. 원만한 의사소통이 이뤄지려면 말하는 사람은 듣는 사람이 잘 알아듣도록 효과적으로 말해야 되고, 듣는 사람은 말하는 사람의 말을 잘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들어야 된다. 말하는 사람은 본인의 사고를 언어화하는 과정에서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서 여러 가지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된다. 말하는 내용을 결정하고 분명히 하면서 정확한 발음과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는 것, 그리고 명쾌한 통사와 의미 구조 등에 신경을 써야 된다. 반대로 듣든 사람은 언어를 생각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말하는 사람의 언어 표현에 유의하면서 화자의 말하는 목적을 파악해야 된다.

 

 음성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의 효과적인 방법을 화법(스피치)라고 한다. 화법은 의사소통을 위한 말하기와 듣기의 방법과 체계를 포괄적으로 표현하는 말이다. 일반적으로 화법을 화술이라고도 하고, 화력(말하는 힘)이라고도 하지만, 화술은 체계성을 갖추지 못한 '말재주'나 '말재간'이라는 느낌이 강하고, 화력은 몇 시간이고 끈질기게 말하는 능력이라는 말로 오해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화법을 대신하기에는 적절하지 ㅇ낳다.

 

 그런데 음성언어에 의한 의사소통에는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그리고 대화의 주제가 꼭 있어야 된다. 일반적으로 화자, 청자, 화제를 의사소통의 3요소라고 하고, 말을 의사소통의 매체라고 하며, 표현하고 전달하고 그리고 수용하는 활동을 의사소통의 과정이라고 한다. 때문에 화법은 '화자와 청자가 일정한 화제를 음성언어와 몸짓으로 전달하고 수용하는 활동의 체계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화법의 예절

 화법은 음성언어를 매체로 하기 때문에 언어 예절에 대해서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된다. 언어는 사회적 약속이고 관습이기 때문에 이를 위반하면 원활한 의사소통을 기대할 수 없다. 교통질서를 무시하면 사고가 발생하거나 도로가 막혀 곤란한 상황이 되듯이 언어생활에서 그 규범이나 규칙을 지키지 않고 무시한다면 의사소통에 장애를 일으키게 된다. 양보하는 자세로 여유를 가지고 운전할 때 차량이 원활하게 뚫리듯이, 언어 예절을 지켜서 말하고 들을 때에 의사소통도 원활해진다.

친절한 말이나 정중한 말, 그리고 예절을 지키는 말은 언제나 듣는 사람의 호응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다.

 국어 높임법의 숙달도 중요한 화법 능력 가운데 하나인데, 우리 민족은 유교 사상이 내재돼 있고 예절을 중시했기 때문에 '높임법'이 발달해 있다. 사회 계층이나 지위, 나이, 성에 따라서 말하고 듣는 태도나 방법에 엄격한 규범이 있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는 가치과느이 변화에 따라서 언어 예절도 많이 변했고, 그것을 번거롭고 까다로운 형식적 절차에 불과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높임법은 우리말의 중요한 특성이고, 우리가 잘 갈고 다듬어서 가져가야 될 소중한 재산이다. 우리 시대에 맞는 언어 예절과 높임법의 규범을 확립해서, 이를 올바르게 익혀 사용하게 하는 것이 화법의 한 임무이기도 하다.

 

 모든 화법에서 바른말 고운 말을 쓰는 것도 언어 예절을 갈고 다듬는 일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말에는 고운 말, 품위 있는 말이 있는가 하면, 거친 말이나 듣기 거북한 말도 있다. 바른말 고운 말을 쓰는 사람은 품위 있는 사람으로 여겨지고, 거친 말을 쓰는 사람은 몰상식한 사람으로 치부되기도 한다. 따문에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려면 모든 화법에서 바른 말 고운 말을 쓰도록 해야 된다.